낚시광장

사이드메뉴
이전으로
찾기
[현장기] 갯바위 참돔낚시도 이제는 ‘가성비’ 시대 거제 남부 다대갯바위만 나가도 50cm 씨알은 거뜬
2025년 07월
공유
[현장기]

갯바위 참돔낚시도 이제는 ‘가성비’ 시대

거제 남부 다대갯바위만 나가도
50cm 씨알은 거뜬

김진현 기자




50cm급 참돔을 보여주는 정일재 씨.



갯바위낚시 중에서도 참돔낚시는 비용이 많이 드는 편에 속한다. 감성돔과 벵에돔은 방파제만 나가도 손맛을 볼 수 있고, 동서남해 내만에 포인트가 즐비해 적은 비용으로 낚시할 수 있다. 하지만 본류를 타고 움직이는 참돔의 경우 대부분 포인트가 먼바다에 있어서 배삯이 비싸고, 큰 참돔을 만날 확률이 낮은 탓에 1박, 2박 연이어 낚시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경비가 많이 든다.

거기에다 조류가 빠른 먼바다에서 밑밥으로 참돔을 유인하려면 아주 많은 양의 크릴을 써야했는데, ‘하루 참돔낚시에 크릴 한 박스가 모자란다’는 말이 우스개가 아니었다. 그렇다보니 참돔은 자연스레 전문 낚시인의 영역이 되었고 초보 낚시인들은 참돔이 내만 가까이 붙는 가을에 밤낚시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불안정한 수온 대비해 오후 출조 선택

그러나 요즘은 상황이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참돔 타이라바의 등장으로 거의 1년 내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참돔을 낚을 수 있으며, 더불어 연근해 수온 상승 때문인지 봄부터 내만으로 들어오는 참돔의 양이 증가해 5월이면 가까운 갯바위에서 참돔을 낚을 수 있다.

이번에 출조한 거제권만 보아도 봄에 큰 참돔을 낚기 위해서는 고성 나무여나 통영 장덕암, 구을비도, 거제 안경섬 등지로 나가야 하지만 이제는 거제 여차나 해금강으로 나가면 참돔을 만날 수 있다. 70~90cm 대형 참돔을 노린다면 지금도 먼바다가 유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40~50cm 참돔이라면 많은 비용과 시간을 들일 필요 없이 가까운 갯바위 포인트를 찾아도 충분한 것이다.

지난 5월 28일, 마산에 거주하는 장일재, 김영규 씨와 함께 거제 다대갯바위일대로 참돔낚시를 나갔다. 출조하기 전 며칠부터 수온이 큰 폭으로 오른 덕분에 벵에돔과 참돔의 활성이 모두 좋아 전체적으로 호황이라는 정보를 듣고 나갔다. 그러나 5월은 어디까지나 수온이 불안정하고 날씨 역시 어떻게 바뀔지 몰라 오후 출조를 선택했다.


들물 시작하자 30~50cm 참돔 입질

거제 남부 다대갯바위는 가을 감성돔 포인트로 유명하지만 초여름부터 참돔도 잘 낚인다. 남쪽으로는 여차, 동쪽으로는 해금강으로 이어지며 다대갯바위는 그 중간이라고 할 수 있다. 들물에 조류가 강하게 들어와 빠른 조류로 인해 낚시하기 어렵다는 낚시인들도 많지만 본류를 타고 들어오는 감성돔, 벵에돔, 참돔의 씨알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오후 1시에 다대항에 도착해 수정호를 타고 김영규 씨는 벼락바위에, 나와 장일재 씨는 흔들바위 앞에 내렸다. 참돔만 노린다면 더 남쪽에 있는 다포도 일대로 나가는 것이 좋지만 출조한 날이 사리물때 직후라 자칫 강한 본류를 만나면 채비를 가라앉히기도 힘든 상황을 만날 것을 우려해 비교적 수심이 얕은 곳에 내린 것이다. 조류가 강할 것에 대비해 홈통 후미진 곳에서 참돔을 노리다가 오후에 벵에돔도 함께 노릴 계획이었다.

오후 3시가 간조라 썰물에는 조류의 흐름이 약해서 잡어만 계속 낚였다. 초들물~중들물을 본격적으로 노리기로 하고 1.5호 구멍찌 반유동 채비를 꾸려 조류가 흐르기를 기다렸다. 본류를 공략한다면 2~3호 구멍찌를 쓰거나 대구경 전유동 찌를 사용해 먼 곳으로 채비를 흘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벼락바위나 흔들바위 주변은 수심이 8~10m로 그리깊지 않고 조류도 천천히 흘러 채비를 가볍게 쓰고 밑밥도 확산상이 높은 것을 추천한다.

오후 3시를 지나자 조류가 밀고 들어와 다포도 일대로 흐르기 시작했고 장일재 씨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입질을 받았다. 올려보니 30cm가 조금 넘는 참돔이었고 얼른 다시 크릴을 꿰어 채비를 흘렸다. 조류가 조금 빨라지나 싶더니 이내 같은 자리에서 히트, 제법 힘을 썼고 때깔 좋은 50cm급 참돔이 모습을 나타냈다.


밑밥에 구름처럼 몰려든 자리돔

일몰 시각이 오후 7시30분이라 시간은 충분했다. 조금 더 큰 참돔이 있나 밑밥을 집중적으로 뿌렸으나 그것이 패착이었다. 참돔이 한 마리 입질하더니 이내 자리돔과 잔챙이 벵에돔이 물고 늘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참돔을 노리기 위해 밑밥과 채비를 멀리 던진터라 바깥 상황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고 입질하는 족족 자리돔이 물고 나왔다.

김영규 씨가 목줄찌 채비를 써서 30cm급 벵에돔을 낚았지만 나머지 벵에돔은 씨알이 25cm 내외였고 무엇보다 자리돔이 많아도 너무 많았다. 며칠 사이에 수온이 올랐다는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자리돔이 연안으로 많이 붙었다. 일몰 직전까지 밑밥을 뿌려봐야 자리돔의 배만 불리겠다 싶어 철수를 결정. 차리라 조류가 빨랐어도 다포도 쪽으로 나갔으면 상황이 어땠을까 하는 궁금증이 남았다.

거제 남부권 갯바위 참돔낚시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오후에 출조해 야영을 하면 30cm 내외의 참돔으로 마릿수 조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이튿날 오전에는 벵에돔과 무늬오징어를 노리기도 좋다. 최근에는 태풍과 장마가 6월에는 거의 오지 않고 7월 중순이 넘어서야 오기 때문에 근거리에서 참돔, 벵에돔을 노린다면 지금이 찬스다.




벵에돔, 참돔을 모두 노릴 수 있는 쯔리겐 구멍찌.

원줄까지 가져가는 시원한 입질을 해 우리를 놀라게한 전갱이.




거제 다포도 일대. 거제 다대항에서 낚싯배를 타고 나가며 선비는 4만원.


30cm급 벵에돔을 낚은 김영규 씨.


벵에돔을 노리고 캐스팅하고 있는 김영규 씨. 뒤로 보이는 갯바위가 다대 한목초소 일원이다.


도장포 바람의언덕 아래에서 에깅을 하고 있는 낚시인. 벌써 무늬오징어가 붙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끝없이 입질한 자리돔. 씨알이 굵어 구이용으로 담았다.




※ 낚시광장의 낚시춘추 및 Angler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무단 복제, 전송, 배포 등) 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애독자 Quiz

매월 30가지 특별한 상품이 팡팡~~

낚시춘추 애독자Quiz에 지금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