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광장

사이드메뉴
이전으로
찾기
[연재_입문자 교실] 장어낚시
2024년 05월
공유

[연재_입문자 교실]


장어낚시


낚시춘추 편집부





민물장어(뱀장어, 이하 장어로 부른다)는 깊은 바다에서 태어나(장어의 산란 장소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강으로 거슬러 올라와 민물에서 성장한 뒤 다시 알을 낳으러 바다로 가는 물고기다. 연어와는 정반대로 회유하는 셈이다. 그래서 장어는 바닷가의 하천이나 저수지에 많다. 반면 댐에서 낚이는 장어들은 대부분 인공적으로 방류한 치어들이 성장한 것이지만 바닷가의 장어보다 씨알이 굵어서 낚시어종으로 더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장어 하면 가장 먼저 오르는 것이 ‘보신제’다. 현대인들은 갈수록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래서 장어낚시와 같은 건강식 낚시가 점차 인기를 얻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장어는 대단히 힘이 센 물고기여서 파워와 긴장감까지 있어 장어낚시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2000년 이전까지만 해도 장어 전문꾼들은 극소수였고 소양호나 파로호에서 여름 시즌에만 잠깐 즐겼다. 그러나 지금은 낚시인들이 급증하여 전국의 많은 댐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장어낚시를 즐기고 있다.

장어는 야행성 어종인 데다 상상을 초월하는 힘 때문에 중량급 장비를 갖춰 밤낚시를 해야 한다. 그만큼 야성적인 낚시이며 장어의 신비로운 생태만큼 아직도 개척의 여지가 많은 낚시 장르다.


<시즌과 낚시터>

장마기를 낀 6~8월이 최고 호황기이고 9~10월도 잘 낚이는 편이다. 비 올 때보다 비 온 뒤 갠 다음날이 가장 조황이 좋다. 비가 오면 수위가 불어나면서 물속 지형이 바뀌게 되는데 장어는 은신처와 먹이사냥터를 찾아 움직이게 되고 새물을 타고 흘러드는 먹잇감을 쫓아 연안 가까이 붙는다.

우리나라 댐 장어낚시의 효시는 소양호지만 지금은 충주호와 대청호, 안동호, 장성호 등 국내의 많은 댐에서 풍족한 장어 자원이 속속 확인되고 있다. 서울시내에 속한 한강 하류, 남한강과 북한강 일부에서도 장어낚시를 하고 있다. 그 외에 바다와 인접한 모든 강의 하구와 수로, 해안지방 저수지에는 장어가 서식하고 있다.


<장비>

낚싯대

장어낚시에는 잉어낚시용 릴낚싯대를 주로 사용한다. 먼 곳을 노려야 하고 힘이 좋은 장어를 제압해야 하므로 경질 릴대가 적합하다. 릴대의 길이는 수심이 깊은 댐에서는 가까이 던져도 되므로 약간 짧은 3.6m 정도가 알맞고 한강 같은 곳에서는 원투가 용이한 4.5m 이상을 주로 사용한다.

시중엔 초릿대가 부드러운 장어 전용 릴대도 출시되었다. 장어의 입질이 약할 땐 미끼만 씹어 먹고 돌아서는데 일반 릴대의 초릿대로는 그런 입질을 파악하기 힘들 때가 많기 때문이다.


일반 스피닝릴을 사용한다. 작은 것은 3000번부터 큰 것은 10000번의 대형 릴까지 사용하고 있다.


받침틀

장어낚시 포인트는 암반지대가 많아서 받침틀이 필수다. 소재를 본다면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두 가지가 있다. 전문 낚시인들은 무겁지만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선호한다. 알루미늄 받침틀은 내구성에서는 떨어지지만 가벼운 게 장점이다.


<채비>

원줄, 바늘, 봉돌

낚싯줄(원줄)은 장소에 따라 6호부터 12호까지 사용한다.

바늘은 깔따구바늘 15~17호, 감성돔바늘 5~7호, 장어 전용 바늘 15~17호를 주로 사용하는데,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지렁이를 미끼로 쓸 때는 깔따구 바늘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봉돌은 댐에선 12호~20호를 사용하지만 원투가 필요한 강에서는 20호 이상을 쓰기도 한다. 봉돌의 모양은 탄두(원투에 유리하나 흐르는 곳에서는 불리하다), 삼각추(흐름 있는 곳에서는 안정적이지만 착수음이 큰 게 단점), 둥근형(동글동글한 만큼 이물감 적고 밑걸림 적은 대신 물 흐름에 따라 이동이 심하다) 등 다양하다.


<낚시방법>

장어는 대개 6~8m 이상의 깊은 수심을 공략해야 낚인다. 댐에서는 수심이 뚝 떨어지는 급경사 지대가 대표적인 포인트다. 바다와 연결된 강과 수로, 저수지에선 최소 2~3m 이상 수심을 노려야 한다.

장어는 많이 회유하지 않고 은신처 주변에서 먹이활동을 벌인다. 곳곳의 포인트를 노리기 위해서는 다대편성을 해야 한다. 한 사람이 보통 10대 정도를 던진다.

미끼가 싱싱하게 움직이는 모습을 연출하려면 가지바늘의 줄꼬임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편대채비를 사용한다.

포인트는 바위지대 직벽, 고사목 등 장애물 등이 주를 이룬다. 댐의 경우 돌무더기, 고사목 등을 노리고 저수지는 물골이나 제방 석축을 노린다. 강과 수로는 수문과 다리 교각이 포인트가 된다.


3단 입질에서 마지막 입질에 챔질

장어는 가까운 곳에서 물기 때문에 멀리 던질 필요는 없다. 저수지나 수로의 경우 10~15m, 댐은 30~50m가 일반적인 캐스팅 거리다. 낚시를 하다가 입질이 들어오는 낚싯대가 있으면 그와 비슷한 거리에 채비를 던져 넣는다.

입질 시간대는 해가 지고 그림자가 길게 늘어지는 초저녁에 집중된다. 밤 8시부터 12시까지는 간간이 장어가 낚이고 자정을 넘어서는 입질 빈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대신 이 시간대에 낚이는 장어는 씨알이 굵다. 보통 새벽 1~2시까지 낚시를 하고 지렁이를 모두 교체해 달아준 다음 수면을 취한다. 아침에 일어나보면 자동으로 입걸림(일명 자동빵)되어 장어가 걸려 있는 경우가 간혹 있다. 아침 입질은 거의 들어오지 않는다고 보면 맞다.

장어의 입질은 보통 세 번에 걸쳐 나타나는 3단 입질 형태로 나타난다. 장어가 미끼를 물면 일단 좌우로 흔드는데 이때 초릿대가 좌우로 탁탁 흔들린다. 이때 챔질하면 모두 헛챔질이다. 장어가 미끼를 물고 뒤로 물러날 때 초릿대가 5cm 정도 숙여진다. 이때도 챔질하면 안 된다. 장어가 먹잇감을 물고 자신의 은신처를 가져가려 할 때 초릿대가 10cm 정도 숙여지는데 이때가 챔질타이밍이다. 대물은 낚싯대 끝이 더 큰 폭으로 앞으로 숙여지고 아예 올라오지 않는 경우도 있다.

챔질에 성공했다면 장어가 장애물에 박고 들어가지 않도록 무조건 대를 세우고 릴링을 한다. 장어의 꼬리는 사람으로 치자면 손과 같기 때문에 돌 틈에 박히거나 고사목 등을 감으면 뽑아내기 힘들다. 장어가 힘을 쓰면 뒤로 물러나면서 버텨야 하는데 씨알이 1kg 이상이 되면 처음엔 꿈쩍도 않는 경우가 많고 끌어내는데 몇 분이 소요되기도 한다.

연안으로 끌어낸 장어는 목줄만 끊어서 보조가방(살림통)이나 살림망에 넣어둔다. 살림망은 양파망 같이 그물코가 작은 것을 쓴다. 붕어용 살림망을 쓰면 빠져나기 쉽다. 보조가방에 보관할 때는 장어 몸체가 살짝 잠길 정도만 물을 부어준다. 물을 너무 많이 부으면 오래 살지 못한다. 바늘을 삼킨 장어는 알아서 바늘을 뱉어 놓는다.


300~800g이 평균 씨알, 1.5kg 이상은 대물급

낚은 장어는 길이보다는 굵기를 두고 씨알을 표현하곤 한다. 박카스병 씨알은 장어의 몸통 굵기가 박카스병 만하다는 것이다. 보통 릴자루(손잡이대)는 200~300g, 박카스병은 700~800g, 캔커피는 1kg, 소주병은 1.6kg, 캔맥주는 2kg 정도 된다. 릴자루 씨알은 40cm급, 박카스병은 50~60cm, 캔커피 씨알은 70~80cm, 소주병 씨알은 1m급, 캔맥주 씨알은 1m~1.2m 정도의 길이가 되며 소주병 이상 씨알을 두고 대물이라고 말한다.

장어는 좀처럼 죽지 않는다. 그래서 물기만 있는 통에 보관해 온다면 대략 4시간 정도 살릴 수 있다. 또 물을 적신 신문지에 돌돌 말아 보관해도 오랜 시간 살릴 수 있다.

장시간 이동할 때는 기포기를 사용하거나 비닐에 물을 조금 넣은 후 산소를 불어 넣어주면 24시간 정도까지 살릴 수 있다.

택배로 장어를 보낼 때는 수건에 물을 적셔 장어를 돌돌 말아 싸고 얼린 생수 한 병을 넣어 스티로폼 박스로 포장하면 배달되는 동안 죽지 않는다.



댐에서 호젓하게 입질을 기다리고 있는 낚시인.


서서히 동이 트는 낚시터. 이 시간대가 되면 장어 입질은 종료된다.


충주호에서 낚은 대형 장어를 들어 보이고 있는 낚시인.


장어낚시 가방에서 낚시장비를 꺼내고 있는 낚시인. 장어낚시는 보통 8대 이상으로 다대편성한다.


국내 최고 기록은 126cm, 세계 최고 생존기록은 106년

장어 부문 역대 국내 최대어는 1989년 춘천의 윤창호 씨가 1999년 8월 17일 소양호 작은산막골에서 낚은 123cm로 무게는 3.6kg이 나갔다. 새벽 4시경 산지렁이 미끼로 낚았다.

장어는 오래 사는 물고기로도 유명하다. 유럽산 장어의 경우 최고 88년으로 기네스북에 올라와 있으며 뉴질랜드산 장어는 최대 수명이 60년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06년까지 살았다는 기록도 있다. 우리나라 장어도 50년 이상 살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동추채비

원줄에 바로 구멍봉돌을 넣어 위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하게 만든 채비다. 완충작용을 할 수 있는 구슬을 봉돌 아래에 끼우고 도래를 연결한 다음 외바늘 또는 쌍바늘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 채비는 고기가 미끼를 먹을 때 이물감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신 흔히 말하는 ‘자동빵(자동걸림)’ 확률은 극히 적어 챔질타이밍을 잘 잡아야 한다. 참고로 유동추채비에서는 봉돌 아래에는 쿠션용으로 구슬을 넣어도 봉돌 위에는 구슬을 넣을 필요가 전혀 없다. 오히려 이 구슬에 바늘 목줄이 걸려 꼬이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반유동추채비

유동추채비와 더불어 장어 낚시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채비다.

그림 ①은 버림봉돌채비를 응용한 반유동채비다. 원줄 위에 수축튜브(지름 ø4)를 씌워 슬리브(일명 쌍파이프)를 끼운 뒤 니퍼로 눌러 고정시키고, 구슬-스냅도래(버림봉돌과 연결되는)-구슬을 차례로 꿰어 25cm 정도 움직일 수 있게 만들었다. 수축튜브를 사용하면 캐스팅할 때 줄꼬임이 적은 장점이 있으며 바닥 걸림도 줄일 수 있다. 버림봉돌용 목줄을 바늘이 달린 채비보다 길게 연결하면 유동가지채비가 된다. 버림봉돌과 연결하는 가짓줄을 다소 가는 나일론줄 2호 정도로 사용하면 밑걸림이 생겼을 때 쉽게 떨어져 채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림 ②는 반유동추채비에 철사편대(일명 천평)를 연결하여 만든 가지바늘채비다. 기둥줄에 철사편대를 달아줌으로써 캐스팅할 때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초에서 잘 빠져나오지만 돌부리 같은 곳에서는 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대개 20호 내외 봉돌을 쓰지만 유속이 강한 곳에서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대 35호 정도까지 사용한다.

버림봉돌가지채비

밑걸림이 심한 지형에서 효과적인 채비들이다. ①은 경상도 지방에서 종종 쓰이는 채비로 채비가 간단해 만들기 쉽다. ②와 ③은 회전하는 플라스틱 고리를 사용해 줄꼬임 문제를 해결한 일종의 가지바늘채비다. 날씨가 더운 여름에 특히 평지형 저수지에서 많이 쓴다. 미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잡어 성화를 덜 수 있다. 시판되는 제품이어서 쉽게 사서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장어낚시 특효 미끼인 청지렁이(좌)와 산지렁이.



장어 미끼 총정리

장어낚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미끼는 지렁이다. 청지렁이가 가장 많이 쓰이고 산지렁이, 줄지렁이(붉은지렁이) 순으로 사용한다. 기타 피라미, 참붕어 등과 같은 어류와 땅강아지, 귀뚜라미 같은 곤충도 미끼로 쓰인다.



청지렁이

청지렁이는 지렁이 중 가장 질긴 게 장점이다. 10cm 전후를 많이 쓴다. 낙동강변에 많이 서식하며 이곳에서 채취한 지렁이를 쇼핑몰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산지렁이(참지렁이 또는 밭지렁이)

흔히 산지렁이라 부르는 지렁이는 참지렁이와 밭지렁이 두 종류가 있다. 길이가 10~15cm로 길고 갈색을 띤다. 청지렁이보다 살이 연해서 입질 빈도가 높다. 비가 많이 오는 여름에 산이나 하천변을 캐면 채취할 수 있다. 산지렁이 중에서도 큰 것을 낚시인들은 ‘말지렁이’라 부른다. 비온 뒤 갈대밭이나 뻘에서 채취되는 녀석 중엔 환대 윗부분이 까만 6~7cm 길이의 지렁이가 채취되는데 이를 ‘꺼먹지렁이’라 부른다. 산지렁이에 비해 끊어지지 않아서 입질이 예민할 때 특효 미끼로 통한다. 비 온 후 강변이나 갈대밭 뻘에서 채취되는 녀석으로서 한강이나 태화강에서 효과가 좋다고 한다.


줄지렁이(붉은지렁이)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일반 지렁이다. 초봄이나 겨울처럼 미끼를 구하기 힘들 때만 사용한다. 감성돔바늘 3~5호에 10마리 정도 꿰어서 사용한다.


물지렁이

한강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미끼로 통한다. 미끼를 찾는 낚시인이 많다 보니 용산구 한남동의 낚시점 등에서 직접 채취해 판매하고 있다.


땅강아지

장어 어부들이 주낙용 미끼로 쓰는 미끼다. 잡어에 강하고 장어만 골라 잡힌다 하여 유명해진 미끼이나 실제 사용해보면 강에서는 입질이 잘 들어오지만 댐에서는 효과가 떨어진다. 머리와 다리, 날개를 떼어내고 배 부분이 바늘 바깥쪽으로 향하게 꿰어서 쓴다. 원투를 할 경우 작은 지렁이를 바늘 끝에 꿰면 땅강아지가 바늘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거머리

논에서 흔히 잡히는 청거머리는 효과가 없고 돌 밑에 서식하는 빨간색의 돌거머리가 미끼로 쓰인다. 장어는 물론 메기에도 특효다. 등 부분의 껍질 부분만 살짝 꿰어 놓으면 한 달이 지나도 살아 있다. 댐과 한강에서 효과가 좋다.


미꾸라지

댐, 저수지, 강에서 두루 먹히는 미끼다. 새끼손가락 크기의 작은 미꾸라지가 효과가 좋으며 입질이 들어왔을 때는 최대한 기다린 뒤 챔질하는 게 입걸림 확률이 높다.


새우

잡어에 약한 게 흠이지만 잡어가 없을 때는 사용할 만하다.


말조개

조개는 장어낚시에 비장의 미끼로 종종 거론된다. 바다의 담치를 닮은 ‘민물담치’가 특효라는 말도 있고, 한강에서 오분자기를 잘라 사용하는 낚시인도 있다. 말조개는 강이나 저수지에 많이 서식하는 조개인데 껍질을 부수고 속살만 누벼 꿰어 사용한다.


물고기류

은어, 황어, 피라미, 참붕어 등을 포를 떠서 사용한다.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에서 애용되는 미끼다. 특히 동해에서는 포를 뜬 은어가 효과가 좋다. 작은 피라미나 참붕어는 통으로 꿰어 사용한다.



요리

장어는 최고의 건강식품이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는 것들은 대부분 양식산으로, 자연산 장어는 구하기 어려워 낚시인이 아니면 맛보기 어렵다. 탕으로 끓여먹는 방법이 있으며 소금구이와 양념구이 그리고 회로 먹기도 한다. 한의원에서는 ‘가미쌍금탕’ 처방을 받아 한약과 같이 끓여먹기도 한다. 그 외 장어깐풍기, 장어죽 등 여러 가지 요리가 있다.



장어와 산도라지, 마늘 30쪽, 생강을 함께 푹 고면 냄새가 제거되고 맛도 좋다.


소금구이

먹기 적당한 크기로 자른 뒤 굽는다. 이때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뿌려둬야 눌러 붙지 않고 타지 않는다. 중간 중간 맛소금을 뿌려주면서 노릇노릇하게 구워지면 참기름장이나 간장에 찍어 먹는다.


양념구이

생강, 된장, 간장, 소금으로 버무린 양념장에 양파, 사과를 잘라 넣고, 살을 제거한 뒤 남은 장어의 머리, 등지느러미 가시를 양념장에 넣은 뒤 물을 넣고 아주 약한 불에 오랜 시간(6시간) 끓인다. 걸쭉한 상태가 될 때까지 끓이면 양념소스가 완성된다. 그 소스에 구이용 장어를 재워둔다. 약한 불에 양념소스를 발라 노릇하게 굽고 꺼내어 양념소스를 또 발라 다시 굽는다. 세 번 정도 구우면 제대로 양념소스가 밴 양념구이 완성.


장어 회는 그냥 먹으면 그 맛이 너무 아리다. 레몬즙이나 소금을 뿌린 후 냉장고에 2시간 정도 재워두면 아린 맛을 줄일 수 있다. 겨자를 섞은 초고추장에 찍어 상추나 깻잎에 싸먹으면 독특한 풍미를 즐길 수 있다.




※ 낚시광장의 낚시춘추 및 Angler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무단 복제, 전송, 배포 등) 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애독자 Quiz

매월 30가지 특별한 상품이 팡팡~~

낚시춘추 애독자Quiz에 지금 참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