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광장

사이드메뉴
이전으로
찾기
SPECIAL EDITION_SUMMER ROCKFISH3
2017년 09월
공유

대물 볼락을 위한 최종병기

 

장타용 메바볼

 

최무석 다음카페 바다루어클럽 회장·닉네임 유강

 

대물 볼락을 낚기 위한 조건 중 절대적으로 익혀야 할 코스가 바로 장타(원투)이다. 그 동안 수많은 앵글러들이 장타에 도전했고 스스로 다양한 소품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일명 탱탱볼로 불리는 ‘장타용 메바볼’이 원투용으로는 최고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존 레진찌(막대형 던질찌)보다 더 멀리 날아가고 채비의 운용도 더 쉬운 것이 장점. 장타용 메바볼의 사용법만 익히면 대물 볼락을 낚은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할 정도니 올바른 운용법을 꼭 익혀두길 바란다.

 

 

큰 볼락을 낚을 때는 갯바위 콧부리에 서서 최대한 먼 곳을 노린다. 멀리 형성된 물골과 주변 수중여에서 대물 볼락이 입질한다.

 

마릿수 보단 씨알이 트렌드

 

우선 동해안을 비롯한 대물 볼락이 낚이는 원도의 포인트 여건을 알아보자. 대물 볼락은 대부분 붙박이다. 암초나 테트라포드, 인공어초 등 장애물이 있는 수중 은신처에 숨어 지낸다. 조류, 물색, 수온, 기후의 영향에 따라 그 활성도가 달라지며 바다의 해초가 가장 무성하게 자라는 4월~5월을 즈음하며 해안 가까이로 붙는다. 워킹 포인트에서는 이때가 연중 가장 볼락을 낚기 쉽다. 이 시기에는 어느 정도 수심이 나오는 갯바위나 방파제 중층에서도 볼락이 활발하게 반응하기도 하는데 그 절정은 수온이 올라서 해초가 녹아드는 6월까지다.

그런데 볼락 활성도가 꼭 해초류 형성과 절대적인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포이트는 해초가 사라지면 볼락의 반응도 사라지기 마련이지만 어떤 포인트에서는 해초의 형성과 상관없이 볼락이 잘 반응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흔히 마주하는 테트라포드 뿌리 쪽이나 먼 바다 갯바위의 굴과 같은 수중의 공간이라든가 물골, 돌무덤 등이 여기에 속한다. 그리고 배낚시에서는 자연어초와 인공어초, 암반지역의 골창 등이 이에 해당된다.

더불어 볼락이 좋아하는 수온과 관계없이 겨울에 수온이 10도 정도인 상황에서도 볼락이 낚이고 배낚시에서는 수온이 30도까지 올라가 있는 상태에서도 볼락이 반응을 한다. 해초가 피어 있는 초봄에는 파도가 없는 날에 비교적 조과가 좋으나 여름철에 가까울수록 바닷속의 해초가 녹아 경계심아 높아져서 그런지 파도가 약간 일어나는 날이 상대적으로 볼락의 활성도가 높다. 따라서 대물이 낚이는 포인트를 기존의 상식에 가두어 특정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특히 낚시인의 테크닉이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볼락낚시가 마릿수가 아닌 씨알 중심으로 흐르기 때문에 봄철과 같이 많이 낚는 낚시는 큰 의미가 없으며 어떤 상황이든 되도록 큰 볼락을 낚는 것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그 핵심이 바로 원투인 셈이다.

 

장타용 메바볼

 

 

조류가 잘 흐르는 콧부리가 명당

 

기존의 볼락 공략으로는 경계심이 높은 왕볼락이 은신해 있을 포인트까지 장타를 날리기에 부적하다. 그래서 바다루어클럽의 이민업(닉네임 허허벌판) 회원이 중심이 되어 찌낚시용 구멍찌를 튜닝하여 ‘분리형 메바볼’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왕볼락은 경계심만 해소되면 수심 1m에서도 반응을 한다는 사실을 익히 경험한터라 이민업씨는 깊은 수심 공략 보다는 조류가 잘 흐르는 콧부리 지역을 중심으로 멀리 떨어진 수중여 주변 골창을 겨냥했다. 이때 최소한 50m 이상은 채비를 날려야 한다고 생각으로 에깅 로드에 20g이 넘는 ‘분리형 메바볼(구멍찌로 만든 것)’을 체결하여 캐스팅을 해보니 뒷바람을 태우면 70m 이상 캐스팅을 할 수 있었다. 이 분리형 메바볼이 시초가 되어 구멍찌가 플러버(고분자화합물로 만든 탱탱볼)로 발전했는데 바다루어클럽 울산팀장을 맡고 있는 차동만(닉네임 차돌이)회원과 탁재우 회원의 노력이 크게 좌우했다. 구멍찌를 플러버로 바꾼 결과 더 멀리 날아가고 채비에 안정감이 생겼으며 채비 꼬임도 덜했으며 결정적으로 만드는 무게에 따라 침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었다. 그리고 기존 던질찌는 찌 끝부분에 의해 쇼크리더의 각도가 꺾이는 현상이 발생해 미세한 입질을 놓칠 수 있었지만 메바볼은 직진을 유지하기 때문에 멀리서 오는 약한 입질에도 대응이 빠르다 채비 체결 시간도 짧아졌다.

장타용 메바볼을 사용해 그 동안 거둔 조과를 소개하면 이민업씨는 갯바위에서 30cm 내외의 왕볼락을 매년 100마리 이상 낚아내고 있으며 차동만씨와 김재우씨도 60~70마리 조과를 거두고 있다.

 

운용 핵심은 웜 액션의 변화

 

장타용 메바볼을 운용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최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슬로우 싱킹 타입을 전제로 운용법을 설명한다. 가장 기본이 되는 액션은 스톱앤고 액션이다. 최대한 원투한 후 천천히 리트리브를 하다가 릴링을 멈추었을 때 채비의 움직임에 변화가 생기면 입질을 한다. 메바볼에 약간의 저항을 느낄 정도의 속도로 천천히 릴링을 하는 것이 좋다. 수심에 맞추어 멀리 떨어져 있는 해초 주변을 탐색할 때 효과적이다.

볼락 활성도가 높을 때는 단속적인 트위칭 액션 후 스테이를 해준다. 로드 끝으로 메바볼을 살짝살짝 튕겨준다는 느낌으로 트위칭을 하다가 멈추면 된다. 릴 핸들을 함께 돌리면 채비가 끌려오는 속도가 빠르므로 릴 핸들은 고정한 상태로 서너 차례 트위칭 후 스테이 액션을 취하여 웜이 폴링할 때 입질을 받아낸다.

볼락 활성도가 낮을 때는 로드를 천천히 들어올려서 메바볼을 당겨주었다가 로드를 내리는 식으로 리프트앤폴 액션을 해준다. 단 로드를 올릴 때는 천천히 내릴 때는 빠르게 하는 것이 좋다. 로드를 들면 메바볼의 무게 중심이 깨졌다가 로드를 내릴 때 메바볼이 원위치하면서 발생하는 리액션으로 입질을 유도한다. 강한 어필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물 볼락이 잘 걸려드는 액션으로 알려져 있다. 액션은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를 골고루 섞어서 하는 것이 좋다. 멀리 떨어져 있는 대물 볼락에겐 정적인 액션보다는 변화하는 액션이 더 잘 먹힌다.

참고로 채비를 꾸릴 때는 쇼크리더의 길이는 액션 구사 방법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데 일반적으로 80cm 내외를 선호한다. 굵기는 2호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가는 줄을 쓰면 왕볼락 파워와 수중 장애물에 의해 쉽게 터진다. 지그헤드의 무게는 수심 3~4m를 기준했을 때 0.5~1.0g이 적당하다. 조류가 빠를 경우 최대 1.5g까지 사용할 수 있다. 웜은 대물 볼락에게 어필하기 좋도록 2인치 이상을 선호한다. 아징용 웜과 투명한 컬러의 내추럴 타입이 잘 먹힌다.

 

 

장타용 메바볼을 사용해 큰 전갱이를 낚은 바다루어클럽 차동만(닉네임 차돌이) 회원.

 

 

메탈지그와 스플릿샷 활용

 

원도의 포인트로 가보면 반드시 장타를 해야 하는 자리만 있는 것은 아니다. 조류가 빠르거나 수심이 깊은 자리는 얼마든지 있다. 이런 곳은 메탈지그나 무거운 봉돌을 사용한 스플릿샷 채비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메탈지그는 기존 트레블훅을 제거하고 머리에 어시스트훅을 체결해 사용해야 밑걸림을 줄일 수 있다. 많은 앵글러들이 아직까지 메탈지그의 위력을 의심하기도 하는데 왕볼락 킬러로는 메탈지그가 최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 무겁기 때문에 얕은 곳에서 쓰기 힘들다 뿐이지 깊거나 조류가 빠른 곳이라면 메탈지그가 사용빈도 1순위이다. 특히 배낚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아이템이므로 꼭 준비하도록 한다.

스플릿샷 채비는 원줄에 고리봉돌이나 슬플릿샷 전용 싱커를 연결하고 그 아래로 가벼운 웜 채비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라인에 조개봉돌을 물리는 기존의 스플릿샷 방식과는 조금 다른데 무게늘 늘이고 밑걸림을 줄이기 위한 방식으로 고안되었다. 이 채비 역시 깊고 조류가 빠른 곳에서 효과적인데 영일만항북방파제와 같이 깊고 넓은 곳을 빠르게 탐색하기 좋다. 수중여 주변을 집중적으로 공략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장타용 메바볼 자작법

 

●재료 -플러버(탱탱볼), 스위벨 도래, 1mm 철사 5cm, B봉돌 여러 개, 7호 나일론 라인 15cm, 3mm 케미컬라이트, 에폭시 접착제, 드릴, 가위

※플러버는 인터넷에 검색하면 다양한 컬러의 재료를 구입할 수 있다. 아이들 문구용으로 판매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구형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제작에 큰 어려움이 없다. 과정이 복잡해 보이지만 플러버에 드릴로 구멍을 낸 후 도래를 연결하고 싱커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치면 완성.

 

●제작과정

(1)드릴을 이용해 구형으로 만든 플러버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시켜 뚫는다. 상단은 3mm, 하단은 5mm로 뚫는다.

(2)스위벨 도래의 구멍에 철사를 접어서 건다.

(3)스위벨 도래에 건 철심을 플러버에 관통시킨다. 스위벨 하단의 고리가 반쯤 드러나게 한 후 에폭시 접착제로 고정시킨다.

(4)플로팅, 슬로우 싱킹, 패스트 싱킹을 감안해 적당량의 B봉돌을 플러버 하단의 구멍을 통해 삽입한 후 에폭시 접착제로 구멍을 막아 고정시킨다. 부력은 물속에 넣어서 직접 체크. 슬로우 싱킹은 1m 가라앉는 데 7초 내외, 패스트 싱킹은 1m 가라앉는데 3초 내외가 적당하다.

(5)스위벨 도래가 부착된 플러버 상단에 드릴로 3mm 케미컬라이트를 꽂을 구멍을 뚫은 후 케미컬라이트를 꽂는다.

(6)스위벨 고리에 7호 라인을 묶은 후 길이를 7~10cm 내외로 자른 후 나머지 한쪽에 스위벨 도래를 묶어서 고정한다.

<주의> 에깅 로드 라이트나 미디엄라이트를 사용할 경우는 메바볼 무게를 25g 내외로 맞추고 볼락 로드를 사용할 경우 메바볼 무게를 15g 내외로 맞춘다.

 


※ 낚시광장의 낚시춘추 및 Angler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침해(무단 복제, 전송, 배포 등) 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애독자 Quiz

매월 30가지 특별한 상품이 팡팡~~

낚시춘추 애독자Quiz에 지금 참여하세요!!